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최고 호텔이 내세우는 한국적 특징, 파크하얏트 서울 더팀버하우스 The Timber House 파크하얏트 서울Park Hyatt Seoul 오늘은 파크하얏트 서울의 바 Bar, 더팀버하우스 The Timber House를 구경합니다. 사진 위주로 간단히 소개해 드리고 3개 포스트에 걸친 파크하얏트 서울 시리즈를 마감하도록 하죠. 아래의 지난 포스트에서 바로 이어갑니다. 럭셔리 호텔 레스토랑이 보이는 경향 - 파크하얏트 서울 더라운지 [링크]강남 컴포트 퀴진, 파크하얏트 서울 더라운지 그리고 전통차 [링크] 더라운지에서도 느낀 바이지만 팀버하우스 역시 한국 전통 가옥과 소품을 주된 인테리어 컨셉으로 삼았군요. 파크하얏트를 부띠크형 브랜드로 구분하는 글들을 본 적이 더러 있는데, 아마도 호텔 정체성에 로컬의 특색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려는 이런 시도들 때문일까요? 더팀버하우스의 한국적 인테리어와는 달리 .. 더보기 파크하얏트 서울 레스토랑 더라운지 그리고 전통차 - 세상에서 가장 비싼 수제비/강남 컴포트 퀴진 아래 링크의 지난 포스트에서 바로 이어집니다. 더라운지가 보이는 경향과 파크하얏트의 위상에 대해 좀 길게 읊었으니 못보신 분들께선 일독해 보시기 바라고요. 럭셔리 호텔 레스토랑의 경향 - 파크하얏트 서울 더라운지 [링크] 파크하얏트 서울 더라운지 파크하얏트 서울 더라운지의 메뉴들, '강남 컴포트 퀴진 Gangnam Comfort Cuisine'을 위주로 구경해 볼까요? 3만원 대 수제비를 판매하는 슈퍼 럭셔리 파크하얏트와 위 '컴포트 퀴진'이란 작명은 흥미롭게 대비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아래에서 좀 더 설명드리고요, 말미엔 코리안 티하우스, 프리미엄 전통차도 간단히 소개해 드리도록 하죠. 파크하얏트 서울 더라운지 식전 야채입니다. 리뉴얼 전과 바뀌지 않은 차림새인데 그동안의 고객 반응이 나쁘지 않았던 모.. 더보기 파크하얏트 서울 레스토랑 더라운지, 럭셔리 호텔 레스토랑이 보이는 경향 파크하얏트 서울 더라운지 Park Hyatt Seoul The Lounge 지난 4월 3일 리뉴얼을 마치고 다시 오픈했습니다. 재개장 초기 페이스북 타임라인에 오르내리는 평들은 언론에 배포된 기사의 것들과는 다소 뉘앙스가 다르더군요. 그래서 오히려 더 궁금해졌는데 마침 반가운 초대가 있었습니다. 최근 지인 몇 분과 다녀왔고요, 기억에 남는 부분을 먼저 코맨트하고 메뉴 등은 포스트를 분리해 따로 소개해 드리도록 하죠. 이미지: 파크하얏트 서울 파크하얏트 서울은 24층에 프론트와 로비를 배치했고 바로 옆에 올데이다이닝 더라운지 The Lounge를 뒀습니다. 호텔의 최고층에 로비를 둔 이유는 최근에 주로 개관한 복합 빌딩 호텔의 것과 다소 달라 보이더군요. 건물 구조도 영향을 미쳤을 법하고 완충지없이 대로변.. 더보기 명동 솔라리아 니시테츠 호텔과 부대시설 그리고 현지화 아래의 지난 포스트에서 바로 이어집니다. 솔라리아 니시테츠 호텔 명동과 오모테나시, 국내 일본계 호텔은 어떻게 다를까? [링크] 명동 솔라리아 호텔이 갖춘 객실 타입을 빠짐없이 보긴 했습니다만 지면에 모두 올리는 건 좀 부담스럽군요. 이대로 넘어가기엔 그래도 아쉬우니 아주 매력적으로 느껴지는 상품 하나를 추가로 소개해 드리죠. 솔라리아 니시테츠 호텔 명동의 개괄에 대해 궁금하시면 위 링크의 직전 포스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명동 솔라리아 니시테츠 호텔 프리미엄룸 최상층인 22층의 '프리미엄' 타입인데 말하자면 일반 호텔의 프리미어 스위트와 같은 형태입니다. 솔라리아 니시테츠의 부족한 부대시설 구색을 감안하면 놀라울 정도이군요? 입구부엔 크지 않은 규모의 칵테일 파티를 즐길 수 있는 바카운터가 있고 복도.. 더보기 솔라리아 니시테츠 호텔 명동 그리고 오모테나시 - 국내 일본계 호텔은 어떻게 다를까? 참말로 오래되었군요. 2달은 족히 걸리고 말았는데 핑계를 허락한다면, 사진 위주로 호텔의 외양만을 간단히 다루는 글도 아닐뿐더러, 휴일에나 짬짬이 쓸 수 있는 처지라 포스트 하나를 작성한다는 게 때때론 그렇게 수월치 않군요. 그나저나, 호텔을 홍보할 요량이면 제게 리뷰 요청할 일이 아닙니다. 늙은 몽돌은 지적질 전문이요, 제 글을 주로 읽는 부류는 호텔의 소비자들이 아니라 호텔리어와 예비 호텔리어 그리고 학교에 계신 분들이거든요. 고객의 눈높이가 아니라 호텔리어의 눈으로 본 지적질이니 이런 포스트가 소용될 곳은 따로 있다는 것이죠. 아울러, 관행에 젖거나 매너리즘에 빠져 스스로의 문제를 인식하지 못할 때, 외부의 시각은 신선한 자극이 될 수도 있습니다. 솔라리아 니시테츠 명동 로비 오늘 리뷰할 호텔은 그.. 더보기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157 다음